google-site-verification: googlebf3a0e27bdc188eb.html 만나이 시행, 만나이 통일법, 만나이 도입, 만나이 계산, 만나이 적용, 만나이 시행일, 만나이 제도
본문 바로가기
정보

만나이 시행, 만나이 통일법, 만나이 도입, 만나이 계산, 만나이 적용, 만나이 시행일, 만나이 제도

by 똑쑨이 2023. 6. 27.
반응형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만 나이 통일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헷갈리기 쉬운 점

* 04년생은 음주가 허용되는가? 허용됩니다!

음주나이를 규정하는 청소년보호법이 만 나이 통일법보다 우선하기 때문에 원래대로 술 마셔도 됩니다
 

*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17년생들은 내년에 학교를 못 가나요? 갈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취학나이도 만 나이 적용에서 예외입니다 
 

* 군대나 취업에 관련한 병역 검사 나이, 공무원 시험 응시 나이도 바뀌나요? 바뀌는 것 없습니다
   - 올해 2004년생, 내년 2005년생 병역 판정 검사
   - 7급 이상은 2003년생부터 8급 이하는 2005년생부터 응시
 
* 연금 수급 시기, 정년 등이 달라지는 건가요? 달라지지 않습니다.
만 나이 통일법 시행 전에도 법령상 나이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 나이로 계산했습니다. 만 나이 통일법 시행으로 연금 수급시기, 정년 등이 변경되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바뀌는 점은 행정 처리할 때 표시하는 나이일상에서 쓰는 나이가 바뀌는 것!
 
 

만 나이 계산법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면 되는데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1을 더 빼면 됩니다
 

예시 1) 1982년 8월이 생일이라면
2023 - 1982 = 41살인데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40살이 됩니다.
 
예시 2) 1989년 5월 생일이라면
2023-1989 = 34살인데 생일이 지났으므로 그대로 34살이 됩니다.
 

계산하기 복잡할 경우에는 포털마다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면 첫 번째 화면에 화면이 뜨니, 본인의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간편하게 계산 가능 합니다. 


 

만 나이 통일 시행 전에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특이하게도 세 가지 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는 나이, 연 나이, 만 나이 3가지를 쓰고 있었고, 거기다 빠른 년생까지 섞여 족보가 꼬이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특히 태어난 날부터 바로 한 살을 먹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중국, 일본 문화권에서는 세 가지 나이를 활용했었으나, 이러한 셈법을 폐지한 지 오래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세금, 의료, 복지 분야 등에서는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 세는 나이

출생 1살 / 연도별 +1
 

* 연 나이 

출생 0살 / 연도별 +1
 

* 만 나이

출생 0살 / 생일 이후 +1
 

만 나이 시행 국민여론

법제처에서 실시한 국민의견조사에 따르면 6월 만 나이 시행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무려 80%였습니다. 심지어 일상에서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86%나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려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학교에서 동급생들 사이에 애매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연초생과 연말생의 나이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교육부는 시행에 대한 홍보를 진행하면서 사회적 혼란을 줄이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