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속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이라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열이나 통증, 염증이 발생합니다. 소염진통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헤 염증을 내려주고 통증을 가라앉혀줍니다. 이러한약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라고 부르고 부르고 열을 내릴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약국에서 살수있는 아스피린, 애드빌, 이지엔6, 탁센의 주성분이 소염진통제 입니다.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아세트아미노펜외의 성분이 NSAIDs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뇌와 척수에 작용해 열을 내리고 통증을 줄여주지만, 염증을 가라앉히지는 않습니다.
해열 진통제 -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소염 진통제 - 아세트아미노펜이 아닌 약 (아스피린, 애드빌, 이지엔6, 탁센)
빈속에 복용 가능한 진통제
빈속에 괜찮은 진통제는 타이레놀, 펜잘, 게보린이고, 위장장애를 일으킬수 있는 진통제는 진통제는 아스피린, 애드빌,탁센,이지엔6 같은 소염진통제 입니다. 진통제는 크게 해열진통제와 소염진통제로 나뉘는데, 소염진통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통증 전달물질을 차단하는데 이 물질은 위벽을 보호하는 기능도 담당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해버리면 위벽 보호층이 얇아지며 위점막이 손상될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세트 아미노펜 같은 해열 진통제는 위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다양한 목적의 소염 진통제
소염진통제는 두통, 치통, 근육통, 생리통 등의 통증과 함께 발열, 감기몸살, 관절염 등 기타 염증성 질환에 사용되는 약입니다. 다양한 제형이 있어서 그때그때 효과적인 방법으로 복용할수 있습니다. 다른 종류의 약성분이 함께 포함된 복합제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중복 복용하는 약 1위가 소염진통제 입니다. 약효가 나타나는 시간과 약이 지속되는 시간이 달라, 환자와 증상에 따라 구분하여 복용해야 합니다. 흔한 부작용인 위장관계 부작용과 출혈의 경향도 약마다 다르기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소염진통제, 체크 포인트
1. 식후 즉시 복용하세요
프로스타글란딘은 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소염진통제는 위장의 프로스타글란딘을 낮춰서 속쓰림 등의 위장장애가 나타날수 있습니다. 평소 위장이 약한 분이라면 식후 바로 복용하시고, 식사가 어렵다면 우유와 함께 복용하여 속쓰림을 방지할수 있습니다.
2. NSAIDs는 혈소판 응집 억제 기능이 있어요.
혈소판 응집 억제 기능이 있어 출혈 위험이 있을수 있습니다. 수술 전 중단해야하는 약으로 특히 아스피린은 수술 7~10일 전부터 투여를 중단해야 할수 있어서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3. 중복 복용을 피하려면?
같은 기전의 소염진통제를 중복 복용하면, 위장관 출혈등의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가지 소염진통제로 효과가 부족했다면 아세트아미노펜의 해열진통제를 추가 복용하여 중복 복용을 피할수 있습니다. 국소 소염진통제인 파스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파스는 피부로 흡수 되지만 전신 이상 작용은 없습니다.
아스피린 + 이지엔6 (X)
아스피린 + 타이레놀 (O)
내성에 대한 걱정?
통증이 있어도 내성과 부작용이 걱정돼 참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특히 생리통을 가라앉히기 위해 약을 먹는데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많은데 위의 진통제는 내성이 생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통증을 참지 않고 제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증을 참기만 하면 신경이 손상되어 만성으로 이어질수 있으니 아플때는 올바른 용법과 용량으로 약을 복용해야합니다. 생리통의 경우 생리를 시작하기전에 미리 먹거나 시작 직후 바로 복용하는것도 방법입니다. 심하지 않더라도 6~8시간 간격으로 통증이 완화될때까지 복용하면 통증을 잘 가라앉힐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