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bf3a0e27bdc188eb.html 인터넷 위약금 제도 변경, 인터넷 위면해지제도
본문 바로가기
정보

인터넷 위약금 제도 변경, 인터넷 위면해지제도

by 똑쑨이 2023. 7. 30.
반응형

이번에는 9월부터 변경되는 인터넷 약정 제도해지해도 위약금이 발생하지 않는 위면 해지 제도 6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약정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인터넷을 해지하는 경우 위면해지 제도를 활용하면 위약금 없이 해지할 수 있습니다. 
 

9월부터 변경되는 인터넷 약정

우리나라 통신사업을 대기업 몇 곳이 독점하고 있고 국민들은 높은 통신비 부담을 안고 있어서 정부에서 가계통신비 인하 대책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새로운 방안을 발표했는데 이용자의 인터넷 가입유지기간에 대한 기여분을 높이는 방식으로 위약금 구조를 개선하기로 한 것입니다. 따라서 9월부터는 약정기간 절반을 지난 시점부터 위약금이 감소해서 만료시점에 0원으로 하락하는 구조로 제도가 변경되어 위약금이 평균 40% 감소하게 됩니다. KT는 9월 8일부터, SK는 9월27일, LG는 11월1일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우리나라의 초고속인터넷 가구당 보급률은 5월 기준으로 99.8%라서 거의 대부분 국민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인터넷 해지부담이 낮아져 통신사 이동이 더욱 자유로워지면 통신사들끼리 경쟁이 심화되어 국민들은 더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위약금 개선 예시


위면 해지제도란?

최초 가입 시 계약한 약정기간 이내에 해지해도 위약금이 부과되지 않는 제도로 고장과 부득이한 이동 두 가지 상황에 조건을 충족한다면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합니다.
 

고장

  • 최저 보장속도만큼 인터넷 속도가 나오지 않거나, AS를 월 3회 이상 신청했지만 개선되지 않은 경우
  • 1시간 이상, 월 3회 인터넷이 끊긴 경우
  • 고장 누적시간이 24시간이 넘은 경우 (SK 24시간, KT, LG 48시간) 

 

부득이한 이동 

  • 이사한 곳에 해당 통신사의 인터넷 설치 불가(전입신고 3개월 이내)
  • 명의자 본인의 군입대
  • 명의자 본인의 사망

 


반응형

댓글